백두산 화산폭발, 과거이력 보니 '소름'

  • 뉴미디어부
  • |
  • 입력 2019-04-16 14:24  |  수정 2019-04-16 14:24  |  발행일 2019-04-16 제1면
20190416
사진:연합뉴스

백두산 화산폭발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심재권·이상민 의원이 개최한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2002∼2005년 백두산 천지 근방에서 화산지진이 3,000여회 이상 발생해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심각한 화산분화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연구원 지진연구센터의 지강현 교수는 “장백산화산관측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정기에는 한 달 평균 7건이던 지진 발생 수가 2002∼2005년에는 평균 72건으로 증가했다”며 “이 시기에 지진 크기도 커졌고, 백두산 자체도 더 부풀어올랐다”고 최근 백두산의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윤수 포항공대 교수는 발표를 통해 “백두산의 과거 분화는 2010년에 아이슬란드 화산분화량의 1,000배 이상 규모였다”며 “앞으로 백두산 화산이 어떻게 될 것인지 모르나 그걸 알기 위해 정밀 조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000년 전 백두산에서 분출했던 화산재는 그린란드까지 날아갔다. 그 흔적이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 발견됐다. 백두산 분출이 남·북한, 중국, 일본을 넘어 북반구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이 자리에서 백두산 분출에 대한 수치모의 실험 연구수행 결과를 발표했다. 실험에서 화산재 강하의 1차 피해지역은 북한이다. 윤 교수는 “강하화산재가 비처럼 내리고, 화산재 분화 말기에 산불이 발생해 주변 산지를 태울 것”이라며 “백두산 천지 칼데라에서 흘러넘친 물로 대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천지의 물은 백두산의 부서진 암석, 화산재와 함께 흐르면서 ‘라하르’로 불리는 토석류, 화산이류 등을 생성해 주변지역을 황폐화시킨다. 라하르는 압록강 주변 북한 양강도 혜산시·보천읍·김정숙읍·김형직읍, 중국 장백조선족자치현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 일대의 도로·댐·전기 등 기반시설은 마비되고, 생태계가 변란하며 토양이 침식된다. 주민은 호흡기 질환, 식수 오염, 냉해에 시달리게 된다.

윤 교수는 “지난 2000년간 가장 큰 화산분화 사건으로 인지되는 활동이 백두산에서 있었다. 이 사건은 946년 밀레니엄 분화(Millenium eruption)로 명명돼 있다”며 “당시 백두산에서 날아간 B-Tm 화산재는 일본 홋카이도·혼슈 북부를 지나 쿠릴열도 해저,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도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당시 백두산의 화산폭발지수는 7 규모로, 1815년 지구의 온도를 1도 낮췄던 인도네시아 탐보라 화산분화(분출물 총량 100㎦)의 1.5배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후 백두산은 1668년과 1702년, 1903년에도 분화 기록을 남겼다. 특히, 2002~2005년 사이 천지 근방에서 3000여 이상의 화산지진이 발생해 심각한 화산분화 징후를 보이기도 해 우려를 자아냈다.  


윤 교수는 “그 이후 함경도에 강하화산재가 낙하하는 등 30회 이상의 분화사건이 역사에 기록돼 있다. 백두산은 2002~2005년 화산 위기가 있었던 활화산”이라고 경고했다.

백두산의 마지막 분출은 1903년에 있었다. 당시 방출된 에너지는 1980년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폭발의 1000배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백두산의 화산 활동 예측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폭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남북이 함께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국내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2013년부터 영국과 미국 전문가들이 '백두산 북-영-미-중 연구그룹(MPGG)'이 이 활동을 하고 있지만, 국내 연구진은 정치적인 문제로 참여할 수 없었다. 


지강현 한국지질자원 지진연구센터 연구원은 "백두산으로부터 발생할 화산 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백두산에 상시 화산 감시시스템을 만들고, 화산 활동이 시작하기 전에 감시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며 "전조현상을 탐지하고 장비를 설치하면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 남북공동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뉴미디어부 ynnews@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